전쟁의 시대, 조각이 전하는 가장 조용한 외교
2025년, 지구는 여전히 불안합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고,
우크라이나의 들판은 여전히 포성에 잠기고 있습니다. 수단, 미얀마, 예멘, 가자지구까지—
지구 곳곳에서 사람들은 오늘도 전쟁으로 집을 잃고, 사랑을 잃고, 이름 없는 땅에서 헤매고 있습니다. 국제 정세는 흔들리고, 이념과 이해, 경제와 영토를 둘러싼 대립은 여전히 대화를 밀어내며 인류의 평화를 뒤로 미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도시가 택한 건 조용한 조각이었다. 서울 서초구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두 도시는 2021년,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우정을 나누기 위해 각자의 대표 인물을 상대 도시의 공원에 세우는 우호조각 교환을 진행했습니다.
서울 서리풀공원에는 우즈베크 문학의 아버지, 알리셰르 나보이의 흉상이 타슈켄트 서울공원에는 한국의 성군, 세종대왕 동상이 조용히 자리 잡았습니다.
이 조형물들은 단순한 외교 상징을 넘어, 전쟁의 시대에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물리적 증거이기도 합니다.
조각이 건네는 시선
세종대왕 동상은 푸르른 타슈켄트 공원 한가운데 서서, 언어와 소통의 중요성을 말없이 전한다.
나보이 흉상은 서울의 공원 속에서, 시와 문학으로 이어진 우정의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조각은 ‘모범’입니다. 포탄이 날아드는 시대에도, 두 도시는 총 대신 조각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그 조각은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직 사람을 믿습니다. 서로의 언어와 문화를 들으려 하고, 전쟁 대신 우정을 건네고자 합니다.”
그리고 그 조용한 조각은, 어느 외교 문서보다 먼저 시민들의 마음속에 닿고 있습니다.
전쟁의 시대에, 가장 강한 말은 침묵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 침묵을 조각이 대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