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청년에게 미래가 없다는 것은 국가의 미래가 없다는 것이다

산타뉴스 남철희 칼럼
입력
청년의 75%가 구직수당을 받는 현실

청년에게 미래를, 기술로 일자리를: AI 시대의 국가 전략

 

최근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구직촉진수당 수급자의 75%가 청년층(15~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청년 고용시장이 얼마나 심각한 침체에 빠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청년들은 일자리를 원하지만, 사회는 그들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청년의 삶은 불안정해지고, 국가의 미래도 위태로워진다.

 

구직촉진수당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을 통해 제공되며, 월 50만 원(2026년부터 60만 원 예정)을 최대 6개월간 지급한다. 

이 제도는 저소득 구직자, 고용보험 이력이 없는 장기 미취업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 

청년층의 수급 비율이 높은 이유는 대부분이 사회초년생으로 경력이 없고, 청년 고용시장의 구조적 침체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 취업자 수는 2025년 8월 기준 전년 대비 219천 명 감소했으며, 16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도 줄어들고 있으며, 29세 이하 가입자는 2022년 이후 매년 감소 중이다. 이는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단기적인 수당 지급을 넘어선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 해답은 바로 AI 시대에 맞는 창업 지원과 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이다.

 

세계는 이미 AI 기술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은 AI 스타트업 육성, 디지털 인재 양성, 기술 인프라 구축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청년들이 가진 디지털 역량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청년들은 코딩, 데이터 분석, 디지털 마케팅 등 다양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실현할 무대가 부족하다.

 

청년의 불안은 국가의 위기다

 

청년층은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다. 그러나 지금의 청년들은 안정된 일자리, 주거, 결혼, 출산 어느 하나도 쉽게 선택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의대 입시에 목을 매는 현상은 단지 ‘편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산업군에서는 미래를 보장받기 어렵다는 사회적 메시지다. 이는 청년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다.

 

정부는 이제 청년 창업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조성해야 한다. AI, 바이오, 반도체, 로봇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청년들이 창업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멘토링, 인큐베이팅,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단순히 물고기를 주는 것이 아니라, 그물을 제공해 청년들이 스스로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 SK하이닉스가 기술직군에게 1억 원이 넘는 성과급을 지급한 사례는 기술 산업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다. 

청년들이 기술 산업에서 꿈을 꾸고, 도전할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인구 구조가 심각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대 인구가 70대보다 적어졌다는 사실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경고다. 

 

이는 단지 출산율 저하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불안정성의 반영이다. 

 

청년에게 미래가 없다는 것은 곧 국가의 미래가 없다는 뜻이다. 

구직수당은 청년의 생계를 잠시 지탱해줄 수는 있지만, 지속가능한 삶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이제는 청년에게 기술과 창업이라는 미래의 도구를 제공해야 할 때다.

 AI 시대의 국가 전략은 청년에게서 시작되어야 한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