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화/예술
문화

문화기획

류재근 기자
입력
수정
반가사유상 - 내면의 반성과 사유의 시간
내면의 반성과 ‘사유의 방 ’. (사진제공 류재근 기자)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83호)을 생각한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2층에 마련된 ‘사유의 방’에서 나란히 전시 중인 두 점의 금동불상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삼국시대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국보 78호와 국보 83호는 한국 불교조각사 뿐 아니라 동아시아 조각문화의 흐름을 가늠케 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 두 작품의 특징과 더불어 전시 공간인 사유의 방에 대해 각계에서 제기하는 평가와 쟁점들을 종합했다.

 


작품 개요 및 조형 설명

 

먼저 국보 78호는 삼국시대 6세기 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불상이다.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리고 오른팔을 무릎 위에 얹어 손가락을 뺨에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 ‘반가좌(半跏坐)’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특히 머리 위에 ‘일월 (日月)식 보관(寶冠)’을 갖추고 있어 태양과 초승달을 형상화한 장식이 특징이다.  

 옷 주름과 천의(天衣)의 리듬감, 허리띠와 옷자락의 흐름 등이 매우 세련되어 한국 고대 조각사의 출발점으로 보이기도 한다.  

반면 국보 83호는 7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평가되며, 크기가 더 크고 표현도 다소 절제된 미를 보여준다.  

 보관의 형태가 낮고 간결하며, 상반신에 옷을 걸치지 않은 표현, 입체적인 옷주름 표현 등이 특징이다.   
두 작품 모두 금동으로 주조된 중공식(中空式) 기법을 사용했으며, 얇은 판 두께에서 뛰어난 주조기술이 감지된다.  

이처럼 두 반가사유상은 형태는 동일하나 제작시기·양식·표현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는 삼국시대 불교조각 양식이 시간과 공간 속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다.

 


• ‘사유의 방’ 전시공간 및 운영 취지

 

‘사유의 방’은 박물관이 이 두 반가사유상을 위해 별도로 마련한 전용 전시공간이다.   어둡고 고요한 분위기 속에서 관람자 스스로 깊이 사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전시 안내문에서도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관람 동선은 통로를 ‘ㄷ’자 형태로 들어가 작품 앞에 다다르도록 되어 있으며, 유리커버 없이 직접 작품을 마주하는 형태로 전시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관람자가 작품과의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좁혀 ‘사유’라는 행위 자체를 경험하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 각계의 평가와 쟁점

 

예술사·학계 시각 


한 미술사학자는 ‘78호에서 보이는 일월식 보관과 날개처럼 퍼지는 천의자락은 중국 동위(東魏)·서위(西魏) 불상의 형식을 반영하면서도 한국 고유의 표현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또한 ‘83호에서는 이른바 형식미 대신 입체적 리듬감이 강조된 점이 두드러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학계에는 ‘78호가 83호에 비해 저평가돼 왔다‘는 지적도 있다.   83호가 일본의 목조반가사유상 (고류지)(廣隆寺)와 조형적으로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주목받아 왔다.  

 

관람자, 문화기획 시각


일반 관람자 사이에서는 ‘사유의 방’이라는 공간 자체가 인상적이라는 평이 많다. 한 방문객은 ‘두 불상이 전시된 공간에 들어서자 잡념이 사라지고 마치 스스로도 깊은 생각에 잠기게 됐다‘고 밝혔다.   또 다른 기사에서는 ‘전시실이 작품보다 배경을 강조한다‘며, 불상의 뒤·옆 공간까지 포함해 만들어진 전체 경험이 관람을 좌우한다고 평했다.  

 

전시 운영 및 명칭 관리 시각


문화재관리 측면에서는 ‘78호’와 ‘83호’라는 지정번호가 사라지면서 혼란이 생겼다는 지적도 있다. 지정번호 폐지로 인해 동일한 명칭으로 여러 문화재가 검색되고 구별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또한, 두 불상을 대표작으로 삼아 박물관 방문객을 유치하려는 기획 측면도 있다. 특히 기사에서는 모나리자를 전시한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처럼 박물관의 상징으로 키우려는 움직임이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남은 과제와 제언

 

첫째, 관람자 경험 측면에서 공간이 작품을 돋보이게 하는지는 계속 점검할 필요가 있다. ‘사유의 방’이 작품 감상에 집중을 높이는가, 아니면 공간미에 가려 작품 자체가 부각이 덜 되는가는 관람자 피드백을 통해 검토돼야 한다.

 

둘째, 두 반가사유상이 갖는 미술사적 가치와 제작 배경이 일반 관람자에게 충분히 전달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왜 이 자세인가?‘ ‘왜 이 시기에 이 양식이 나왔는가?‘ 등의 해설이 더 보강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재 명칭·지정번호의 변화가 혼란을 낳고 있다는 점에서 안내·홍보 체계가 강화돼야 한다. 
관람자가 두 작품을 명확히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두 작품 및 전시 공간이 단순한 시각 감상을 넘어 ‘사유(思惟)’라는 개념을 관람자 스스로 경험하게 한다는 기획 취지가 잘 살아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이러한 기획 의도를 유지하면서도 작품과 공간, 관람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다 풍부하게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 내면의 반성과 사유의 시간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  ‘사유의 방’의 안내 문구처럼, 이 공간은 단순히 고대 불상을 보는 장소가 아니라 관람자 스스로가 사유를 경험하는 장으로 설계돼 있다. 제작 시기와 양식이 다른 두 점의 반가사유상이 나란히 서 있는 이 전시 공간에서, 우리는 고대 한국인의 형식미와 종교적 사유, 그리고 오늘날 관람자의 내면적 성찰을 동시에 마주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 두 작품이 단지 박물관의 볼거리 수준을 넘어 우리 시대에 필요한 ‘내면의 반성’과 ‘사유의 시간’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체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류재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