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출산, 은행이 바꾸고 세계가 움직인다" 저출산 해법을 찾아 나선 한국 금융권의 실험
사회/경제/정치
사회

"출산, 은행이 바꾸고 세계가 움직인다" 저출산 해법을 찾아 나선 한국 금융권의 실험

성연주 기자
입력
수정

산타뉴스 | 출산, 은행이 바꾸고 사회가 함께 움직인다 

“저출산, 이제는 함께 나눠야 할 미래의 책임”


글 | 성연주 기자 

 

한국, 인구절벽 앞에 서다
 

2025년의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0.66명, 세계 최저 수준이다. 인구절벽이라는 거대한 벼랑 앞에서, 정부의 대책도 시민들의 불안도 모두 제자리를 맴돈다. 그러나 지금, 그 조용한 절망의 언저리에서 뜻밖의 변화가 움트고 있다.

바로, 금융권의 ‘출산 동행 실험’이다. 출산을 개개인의 선택이자 희생이 아닌, 사회 전체가 감당해야 할 공공의 책임으로 인식하는 흐름이, 먼저 은행권에서 시작되고 있다.

 

출산을 돕는 은행들 — '친화'를 넘어 '동반자'로
 

은행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단순히 출산을 ‘장려’하거나 ‘축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시간과 제도의 지원으로 ‘출산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 우리은행: 육아휴직 최대 2년 6개월,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난임치료비 연 500만 원, 난임휴가 6일
  • NH농협은행: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난임치료비 최대 1,000만 원 지원
  • 신한은행: 출산경조금 확대, 경제적 지원 강화
  • 하나은행: 롯데쇼핑과 협력해 출산 예정자 및 미취학 자녀 둔 임직원에게 적금 우대·신용대출 금리 인하 적용


한 은행 관계자는 말했다.
 

“출산을 미루지 않아도 되는 회사를 만들고 싶어요. 직장과 가족 사이에서 ‘눈치’ 대신 ‘선택’을 주는 것이 출발점입니다.”

 

해외는 어떻게 ‘출산’을 바꿨을까?
 

다른 나라는 어떻게 이 위기를 돌파했을까? 출산율 상승에는 공통적으로 지속 가능한 복지 인프라, 남성의 육아 참여, 주거 안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관용성이 있었다.

국가

출산율

주요 정책

이스라엘

2.9

종교·가족 중심 문화

프랑스

1.66

가족수당, 공공 보육 확대, 혼외출산에 대한 동등한 혜택

스웨덴

1.7

남녀 모두 의무 육아휴직, 보육시설 확충

독일

1.5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유급 육아휴직, 아동수당

헝가리

1.6

다자녀 가정 대출 탕감, 세금 감면

일본

1.34

남성 육아휴직 장려, '어린이 패스트트랙' 제도 운영
 

핵심은 단발성 지원이 아니라, 구조적 신뢰와 문화적 변화였다.

 

넘어야 할 ‘현실의 벽’ 다만, 은행권의 변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복지 여력이 있는 기업 몇 곳이 아니라, 사회 전반으로 바뀌어야 해요."
 


중소기업, 비정규직, 경력단절의 위험에 놓인 이들—이들에게 출산은 여전히 두려운 결정이다. 휴직은커녕 퇴사를 각오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주거 불안, 교육비 부담 등 출산 이전의 생존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사람의 용기에서, 사회의 선택으로


우리은행의 직원 B씨(33)는 둘째 아이를 낳았다. 긴 육아휴직 뒤에도 눈치 없이 복직했고, 업무도 문제없었다고 했다
.

“출산이 커리어의 끝이 아니라는 걸 실감했어요. 하지만 이런 회사, 아직 많지 않다는 게 안타까워요.”


출산은 여전히 개인의 책임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출산이 사회의 선택이 될 수 있을 때, 그 무게는 비로소 모두가 나눌 수 있게 된다.

 

타는 오늘, ‘출산의 동반자’가 되기로 했다


산타운동은 나눔의 방식으로 세상을 바꾸려 한다. 이타심은 선물처럼 건네질 때, 하나의 문화가 된다. 지금 은행들이 보여주는 변화는 ‘출산도 함께 나눌 수 있다’는 가능성의 증거다.


더 많은 기업이, 더 많은 마을과 공동체가 출산이라는 ‘사회적 미래’를 함께 키워가기를.

아기의 울음이 희망의 종소리로 들리는 날을 기대하며, 산타는 오늘도 침묵 속에서 연대의 리본을 매고 있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