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 확대, 억지 요청보다 친기업 정서가 해답이다
삼성, 현대차, SK, LG, 포스코, 한화 등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최근 일제히 대규모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를 공개적으로 요청한 직후라, 일각에서는 “정책적 압박에 대기업들이 응답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는다.
그러나 채용은 단순히 구호나 지시에 따라 이뤄지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이번 흐름은 기업들이 미래 성장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정부가 억지로 기업을 채찍질하는 방식보다, 친기업적 환경을 조성하여 기업이 자율적으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삼성은 향후 5년간 총 6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연평균 1만 2천 명에 달하는 규모로, 반도체와 바이오, 인공지능 등 국가 전략산업 분야에 집중된다.
SK그룹도 올해에만 8천 명을 뽑고, AI와 반도체, 디지털 전환 인재를 대거 확보하겠다고 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올해 약 7,200명을 선발한 데 이어 내년에는 1만 명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동화와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개발이 채용 확대의 배경이다.
LG그룹은 3년간 1만 명 규모의 중장기 채용을 내걸었다. 배터리, 전장, AI, 바이오, 클린테크 같은 신사업 중심이다.
포스코그룹 역시 올해 3천 명을 뽑고, 5년간 총 1만5천 명을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여기에 한화그룹은 하반기에만 3,500명을 채용하고, 방산·금융·에너지 부문에 신입 인재를 배치한다. 대기업들의 채용 계획만 합쳐도 수십만 명에 이르는 청년 일자리 기회가 열리는 셈이다.
이러한 규모는 단순히 정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치부하기에는 무겁고도 방대하다. 반도체 공급망 경쟁, 전기차 시장 확대, AI 및 디지털 전환 등 글로벌 산업 구조 변화 속에서 인재 확보는 기업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정부 요청이 없었어도 미래 성장동력을 위해 대규모 채용에 나설 수밖에 없다. 만약 이를 “정부 성과”로만 포장한다면 기업의 전략적 판단과 자생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정부가 진정으로 해야 할 일은 “청년 고용을 늘려라”라는 압박이 아니라, 기업이 마음 놓고 투자하고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다지는 것이다.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고, 연구개발 세제 혜택을 강화하며, 노동 시장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그 출발점이다. 기업의 자율성과 혁신을 보장할 때, 고용은 자연스럽게 확대된다. 채용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또한 중요한 것은 청년 고용의 질이다. 억지로 늘린 숫자는 곧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청년들의 불안을 키운다. 반면 기업이 자율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익을 내는 구조를 갖출 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가 생긴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친기업적 제도와 정서를 확립하는 일이다.
정부와 기업은 대립의 관계가 아니라, 국가 경제를 함께 지탱하는 동반자다.
정부가 기업을 잠재적 규제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거두고,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로 존중할 때 기업은 더 큰 투자와 채용으로 응답할 것이다.
청년 고용 확대는 정부의 강압적 요청이 아니라, 기업 친화적 환경 속에서 자율적으로 열매 맺을 때 비로소 지속 가능하다.
이번 대기업들의 채용 계획을 “압박의 결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미래 지향적 정책과 친기업 정서를 통한 상생의 길을 모색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