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전환 실패하면 10년 뒤 한국 제조업은 사라질 수도”… 최태원의 경고는 현실이다
과학/창업
AI

“AI 전환 실패하면 10년 뒤 한국 제조업은 사라질 수도”… 최태원의 경고는 현실이다

남철희 발행인
입력
정부는 기술 총력체제로 나서야 한다, 더는 늦출 수 없다

“지금 당장 AI를 제조업에 접목하지 않으면, 10년 뒤 한국 제조업의 대부분은 사라질 것이다.”

이 섬뜩한 경고는 공상과학 소설이 아니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최근 공개석상에서 던진 절박한 메시지다. 그는 우리 산업의 주춧돌이었던 제조업이 지금 ‘벼랑 끝’에 서 있다고 진단하며, AI 전환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직시하자고 말했다.

 

제조업이 무너진다…“잃어버린 10년”의 현실

 

최 회장은 그동안 여러 차례 중국의 제조업 굴기를 경고해왔다. 하지만 정책적·산업적 대응은 턱없이 부족했다. 그 결과, 우리는 지난 10년을 ‘잃어버린 10년’으로 만들고 말았다.

 

지금 한국은 13개 주요 제조업 분야 중 12개에서 중국에 뒤지고 있다. 단 하나 앞선 분야는 반도체. 그러나 중국은 이마저도 초고속으로 따라붙고 있다. 10년 전 시작된 중국의 ‘중국 제조 2025’ 전략은 지금 실현됐다. 자동차, 조선, 철강, 기계, 배터리, 가전 등 제조업 전반에서 중국은 세계 1위로 올라섰다.

 

단순한 AI 산업 육성이 아니다…문제는 “기술 접목력”

 

많은 이들이 AI를 또 하나의 산업으로만 인식한다. 그러나 최 회장은 달리 본다. 그는 “AI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AI를 기존 산업에 얼마나 빠르고 강하게 접목하는가”라고 강조한다.

 

특히 제조업은 AI가 접목되면 완전히 새로운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서, AI 기반의 자율 의사결정 시스템이 구축되면 생산성, 효율성, 품질 관리 등에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난다.

 

과거 정부가 추진한 ‘스마트 팩토리’는 디지털화의 첫걸음이었지만, 

이는 단지 공장 자동화와 기기 연결성 수준에 불과하다. 

지금은 그보다 훨씬 높은 단계인 지능화, 자율화, 예측화된 ‘AI 팩토리’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AI 제조업 혁신이 없다면 한국은 탈락할 것

 

AI 전환은 단지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국가 생존 전략이다. 기존 생산 라인을 단순히 디지털화하는 데 머무르지 말고, 공장 전체를 AI로 재설계해야 한다. 산업별 데이터 수집-분석-의사결정 구조가 AI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진정한 ‘제조혁신’이 이뤄진다. 

이는 단순한 민간의 몫이 아니다. 정부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

 

중국은 벌써 다음 산업혁명으로 간다

 

중국은 AI 제조업에 그치지 않는다. 이미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양자컴퓨터, 클라우드 인프라, AI 반도체, 소프트웨어 생태계 전반에서 한국보다 1~3년 앞서 있다.

국가가 치밀한 계획과 자금투입, 인재 양성 전략을 동시에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AI 산업을 통째로 ‘전략무기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파편화된 정책과 부처별 칸막이 속에서 기술 전환의 타이밍을 놓치고 있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기술 총력체제’로 전환하라

 

이제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주저하거나, 논의만 하다가는 한국 제조업은 10년 내에 몰살당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주식회사’처럼 움직여야 할 때다.

 

  1. 정부는 AI 제조업 대전환 로드맵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
  2.  
    • ‘스마트팩토리 2.0’을 넘어 ‘AI팩토리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
    •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맞춤형 AI도입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 데이터 인프라와 AI 인재 양성, 국제 기술연합 참여 등 다각도 전략이 요구된다.
    •  
  3. 민간은 산업별 자율적 기술 컨소시엄을 확대해야 한다.
  4.  
    • 민간 기업은 업종별 데이터 공유와 공동 플랫폼 개발이 핵심이다. 제조·물류·유통 등 산업 경계를 넘는 AI기반 통합 시스템이 필요하다. 개별 연구, 개발이 아니라 떼거리  전략으로 생존 전략을 짜야 한다.
    •  
  5. 정부와 민간이 ‘한 몸’처럼 움직여야 살아남는다.
  6.  
    • 민관정협의체가 아닌, ‘기술전환전략본부’ 수준의 상설 체제를 가동해야 한다. 모든 산업을 망라하여 AI와 서비스, 디자인, 제조업을 융합 통합적으로 다루는 국가기술혁신회의가 필요하다.

 

최태원 회장의 말은 단지 경고가 아니다. 이것은 산업 현장에서 경험하는 경영자의 마지막 사이렌이다. 제조업의 몰락은 단지 하나의 산업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 경제의 근간이 무너지는 것을 뜻하며 이는 모든 국민 생활의 몰락을 의미하는 심각한 현실이라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AI 전환의 타이밍은 늦으면 아무 소용없다. 지금 우리가 총력으로 달려들어야 할 이유다.
우리 국민들의 창의성과 순발력과 열정은 세계 최고이다. 한국은 기술로 다시 일어설 수 있다.

하지만 그 기술은 단순히 발명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활용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10년 뒤엔 행동할 산업 자체가 없을 것이다."

남철희 발행인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