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버지 장례비 위해 저를 팝니다”… 조선 민초의 절박한 선택
교육/문화/예술
문화

“아버지 장례비 위해 저를 팝니다”… 조선 민초의 절박한 선택

산타뉴스 안대준 기자
입력
※ 이 기사는 조선 후기 실제로 존재했던 ‘자매문기(自賣文記)’라는 역사 문서를 바탕으로 한 사실 보도입니다. ‘자매문기’는 가난한 조선 백성들이 생계를 위해 자신이나 자녀를 노비로 팔며 작성한 일종의 계약서로, 현재도 한국국학진흥원 등에 보관된 원문 자료가 남아 있습니다.
의성김씨 지촌종택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윤매 자매문기. 윤매가 왼손바닥을 종이에 대고 그린 서명이 남아있다. [사진제공 한국국학진흥원]
의성김씨 지촌종택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윤매 자매문기. 윤매가 왼손바닥을 종이에 대고 그린 서명이 남아있다. [사진제공 한국국학진흥원]

조선 후기에 살던 윤매(允每)라는 인물은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기 위해 스스로를 노비로 팔았다.


경북 안동의 작은 마을에 살던 윤매는 반복된 홍수와 기근으로 가족이 굶주리는 상황에 내몰렸다.
생계를 책임지던 아버지는 결국 객지에서 숨졌고, 윤매는 시신을 어렵게 집으로 모셨지만 장례를 치를 돈이 없었다.

그는 결국 자신을 노비로 팔기로 결심하고, ‘자매문기(自賣文記)’라는 계약 문서를 작성했다.


자매문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남아 있다.

 “저희 집안은 원래 빈궁하고 가까운 친족도 없다. 을해년(1815년)의 대기근으로 아버지가 객사하였다. 아버지의 장례를 치를 여력이 되지 않아 저를 노비로 팔겠다.”

 

그는 30냥(현재 가치 약 240만 원 정도)에 자신과 후손들이 대대로 그 집의 노비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윤매는 글을 몰라 종이에 왼손바닥을 그리고 서명 대신 남겼다.

 

이처럼 조선 후기에는 기근과 가난으로 인해 스스로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려는 사례가 존재했다.
현대의 일용직 인력시장처럼 일거리를 찾아 나서기보다는, 일생을 종속되는 극단적인 선택이었던 것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현재 자매문기 약 15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들 문서에는 계약 당사자·증인·이유·가격·공증 내용까지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 이는 오늘날의 법적 공증 계약서와 유사한 기능을 했다.

 

또 다른 예로는 ‘윤심이 자매문기’가 있다. 윤심이는 남편이 이미 남의 집 노비로 팔려간 상태에서, 스스로 구걸하며 80세 노모와 시아버지를 부양하는 현실이 힘들어 자신과 아들을 팔겠다고 청원했다. 관청은 이를 받아들였고, 문서에는 허락 내용이 함께 남아 있다.

 

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자매문기는 조선 후기 사회의 민낯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 자료이며,
당시 신분제가 무너지며 천민이 양민으로, 양반이 급증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생겨난 문서”라고 밝혔다.

 

안 대준 기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