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창업
AI

공장 순찰까지 맡은 ‘로봇 개 스팟’…AI와 결합한 차세대 생산 현장

산타뉴스 류재근 기자
입력
현대차그룹 스마트 팩토리, 글로벌 언론도 주목
이미지 생성 로봇 개 ‘스팟(Spot)

현대자동차그룹이 운영하는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 로봇 개 ‘스팟(Spot)’이 투입돼 외신의 주목을 받고 있다.

 

CNN 마켓플레이스 아시아는 최근 HMGICS를 방문해 “이곳에서는 로봇이 인간의 작업을 검사한다”는 표현과 함께, 스팟이 공장을 순찰하며 검사와 점검을 수행하는 장면을 소개했다.

 

스팟의 역할: 순찰·검사·AI 분석

 

스팟은 작업자 뒤를 따라다니며 조립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을 AI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품질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작업이 끝나기 전 미리 문제를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다.
싱가포르 최초 전기차 생산 거점인 HMGICS는 연간 3만 대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약 70%가 자동화됐다. 

현재 약 200대의 로봇이 투입돼 디지털 트윈·AI·로봇 협업 시스템이 어우러진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하고 있다.

 

글로벌 제조 현장으로 확산

 

스팟은 이미 BMW,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 공장에도 도입됐다. 

BMW는 영국 햄스 홀 공장에서, 포드는 스페인 발렌시아 공장에서 스팟을 활용해 시설 순찰과 유지 보수를 맡기고 있다. 

현대차 역시 울산 공장 야간 순찰에 스팟을 투입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공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재다능한 로봇…경호·공연 무대까지

 

스팟은 공장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됐다. 지난해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자택 경호에 동원돼 화제를 모았으며, 예능 프로그램 무대에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모습이 공개돼 주목받기도 했다.

 

정의선 회장의 ‘로봇 전략’

 

스팟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021년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대표 기술이다. 당시 정 회장은 사재 2400억 원을 출연하며 로봇 시장 진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CES 2022 연설에서 “언젠가는 사람들이 휴대폰처럼 스팟을 일상적으로 데리고 다니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로봇 산업의 잠재력을 언급한 바 있다.

 

요약하면, 스팟은 단순한 로봇이 아니라 AI와 결합된 차세대 생산 검사자이자 다목적 파트너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현대차그룹의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류재근 기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