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8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문화행사 총정리
교육/문화/예술
문화

8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문화행사 총정리

산타뉴스 김란희 기자
입력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 곳곳에서 역사와 문화, 예술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서울역사박물관과 이회영기념관에서는 특별전, 공연, 체험형 프로그램 등 시민들이 직접 보고 느끼며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역사박물관 — 두 가지 기획전으로 되새기는 독립과 광복

 

서울역사박물관은 8월을 맞아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8월 31일까지)과 〈우리들의 광복절〉(11월 9일까지) 두 개의 기획전을 동시에 개막했다.

 

1.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안동 출신의 명문가이자 독립운동가 이상룡 선생의 애국정신과 만주 무장독립투쟁의 발자취를 집중 조명한다.

전시는 안동과 서울의 교류를 기반으로 마련되었으며, 2025년 8월 15일 복원 개장을 앞둔 임청각의 역사와 복원 과정을 함께 소개한다.

특히, 이상룡 선생이 국무령으로서 보여준 지도력과 독립 의지를 자료와 사진, 복원 모형 등을 통해 생생히 전달한다.

 

2. 〈우리들의 광복절

 

광복 이후 서울에서 열린 각종 광복절 경축식과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를 통해 재현된 광복절의 모습을 새롭게 재조명한다.

전시품에는 옛 경축식 사진, 광복절 관련 문학 작품 원고, 당시 제작된 영화 자료와 포스터 등이 포함돼 있어, 시민들이 다양한 매체 속에 담긴 광복의 의미를 느낄 수 있다.

 

 

---

광복절 기념 음악회 — ‘되찾은 땅, 되찾은 노래’

 

8월 16일, 서울역사박물관 로비에서 재능나눔 콘서트가 열린다.

주제: 되찾은 땅, 되찾은 노래

황순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의 해설과 송은주 음악감독의 총괄로 진행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음악과 해설이 어우러져 광복의 기쁨과 감동을 되새기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

서울역사박물관 분관 기념전

 

1. 딜쿠샤 — 〈독립, 일상에서 지킨 염원

 

일제강점기 외국인 기자 앨버트 W. 테일러와 김주사의 삶을 소개한다.

김주사의 후손인 민정기 작가의 작품이 함께 전시돼, 예술을 통한 독립 의지와 일상의 이야기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2. 경교장 — 〈광복, 끝과 시작의 문턱에서〉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서울 경교장에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준다.

해방 직후의 정치적 상황과 환국 과정의 의미를 조명하며, 관람객들이 해방기의 역동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 관람 시간: 오전 9시~오후 6시(금요일은 오후 9시까지)
입장료: 무료
휴관일: 매주 월요일

 


---

이회영기념관 — 여성 독립운동가의 목소리를 만나다

 

〈목소리〉 특별전(8월 8일~9월 11일)은 그동안 ‘어머니, 아내, 딸’로만 불리며 독립운동의 조력자에 머물렀던 여성들을 역사의 주체로 재조명하는 전시다.

전시 핵심: ‘땅에서 돋은 귀’

기념관 앞마당에 설치된 여덟 개의 귀 모양 조형물에 귀를 대면,
▴유관순 ▴강주룡 ▴김알렉산드라 ▴김향화 ▴남자현 ▴윤희순 ▴박음전 ▴소은명 등 8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기념관 내부에서는 ▴이은숙 ▴권기옥 ▴조마리아 ▴이화림 등 4인의 목소리를 만날 수 있다.

이 목소리들은 5명의 연극배우와 두 학교(목포정명여고, 배화여대) 학생들이 참여해 재현했다.

 


---

하반기 프로그램 — 역사 탐방과 독서클럽

 

‘이회영 노선 2’

 

사직동 묵은집(이회영기념관), 중명전, 경교장, 딜쿠샤 등 근대 건축물 탐방 프로그램.

10월 1주부터 격주 토요일 진행되며, 참가자는 전문 해설과 함께 탐방하고 기념품(달부채, 이회영 6형제 연필)을 받을 수 있다.

신청: 8월 23일부터 이회영기념관 누리집.


벗집독서클럽’

 

매월 네 번째 수요일 저녁, 음악과 함께 명작과 독립운동 관련 서적을 읽고 토론하는 프로그램.

8월: 김구의 백범일지

9월: 김소월의 진달래꽃 문학답사

 


---

문의처

서울역사박물관: 02-724-0274~6 / 누리집

이회영기념관: 02-755-0610 / 누리집
 

김란희 기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