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창업
AI

서울시, 공무원 행정업무에 29개 생성형 AI 활용 허용

산타뉴스 김란희 기자
입력
12월까지 ‘서울AI챗’ 시범 도입… 내년 본격 확대 여부 검토
퍼블릭 도메인 64449ㆍ
시처믜 모습 퍼블릭 도메인 64449ㆍ

서울시가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인공지능(AI) 활용을 제도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직원들이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청 공무원들은 앞으로 챗GPT, 제미나이 등 총 29개의 모델을 행정 업무에 맞게 골라 쓸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3일, 오는 12월까지 ‘서울AI챗’이라는 새로운 생성형 AI 용량제 서비스를 도입해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지정된 특정 AI 모델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업무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조합해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셈이다.

 

기존 구독제 서비스의 한계와 개선

 

서울시는 이미 지난해부터 AI 업무 활용 수요에 대응해 구독제 형태의 AI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당시 570명의 직원을 모집했는데, 예상을 훌쩍 넘는 약 4배 규모의 인원이 신청하며 행정 현장에서의 AI 활용 의지가 확인됐다. 

다만 당시 구독제 서비스는 특정 모델만 활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어 실질적인 행정 혁신 효과를 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번에 도입되는 ‘서울AI챗’은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형태다. 

여러 AI 모델을 동시에 제공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1 민원 처리 문안 작성, 보고서 요약, 데이터 정리, 정책 자료 분석 등 업무 성격에 맞는 최적의 모델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시범 운영 후 내년 본격화 여부 결정

 

서울시는 시범 기간 동안 용량제 서비스와 기존 구독제를 병행해 운영하며 장단점을 비교할 계획이다. 

주요 검토 항목으로는 사용 빈도와 만족도, 서비스 품질, 업무 효율성 개선 정도 등이 꼽힌다. 

시는 이러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서울AI챗’을 전면 도입할지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AI 행정을 전국 표준으로”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시는 행정업무에 AI를 가장 먼저 도입한 지자체로서 이제는 선도적 차원을 넘어, 전국 지자체가 참고할 수 있는 표준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AI를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서울시 행정조직은 국내 지자체 중 가장 폭넓게 생성형 AI를 업무에 도입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내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민원 대응 속도 개선, 행정 문서 품질 향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강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