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소세포폐암 환자 100명 중 98명, 흡연이 원인”장기 흡연자 발병 위험 54배 높아
과학/창업
헬스케어

“소세포폐암 환자 100명 중 98명, 흡연이 원인”장기 흡연자 발병 위험 54배 높아

산타뉴스 성연주 기자
입력
국민건강보험연구원·연세대 연구팀, 13만 명 16년 추적 분석 폐암·후두암, 흡연과 인과관계 ‘매우 강해’…담배 회사 상대 소송도 진행 중
AI생성 이미지

국내 연구에서 소세포폐암 환자의 거의 대부분(98%)이 흡연으로 인해 발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기간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발병 위험이 54배 이상 높아, 흡연이 폐암과 후두암의 가장 강력한 원인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18개 민간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13만6,965명의 건강검진 기록과 유전 위험 점수(PRS), 중앙 암 등록 자료, 건강보험 자격 자료를 연계해 2020년까지 추적 조사했다. 

 

연구팀은 생활환경과 유전 위험이 같은 집단을 비교해 ‘기여위험도(특정 요인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 비율)’를 산출했다.

 

그 결과, 흡연 기간이 30년 이상이고, 흡연력이 20갑년(하루에 피운 담뱃갑 수 × 흡연 기간) 이상인 현재 흡연자의 경우 암 발생 기여위험도는 ▲소세포폐암 98.2% ▲편평세포 후두암 88.0% ▲편평세포 폐암 86.2%로 나타났다. 

 

특히 소세포폐암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발병 위험이 54.5배나 높았다.

 

폐암은 크게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나뉘는데, 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15~25%를 차지하며 진단 시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수술이 어렵고, 다른 장기로 빠르게 전이되는 특징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흡연은 폐암뿐 아니라 위암(2.4배), 간암(2.3배), 대장암(1.5배) 등 다른 암의 발병 위험도 높였지만, 폐암과 후두암에서 그 영향이 압도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이선미 건강보험정책 연구실장은 “흡연과 폐암·후두암의 인과성이 매우 명확하다는 것을 이번 연구가 다시 입증했다”며 “금연이 가장 강력한 암 예방책”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한 폐암·후두암 진료비 부담을 이유로 2014년부터 담배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 중이다. 

 

현재 2심이 진행되고 있으며, 소송 대상 암종은 소세포폐암, 편평세포 폐암, 편평세포 후두암이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