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역사 정치화 우려”… 지린성 전시회 시찰에 동북공정 재점화 논란
교육/문화/예술
문화

“역사 정치화 우려”… 지린성 전시회 시찰에 동북공정 재점화 논란

산타뉴스 류 재근 기자
입력
한국 학계 “중화사상 강조는 외교적 긴장 유발 가능성”… 중국은 “과민 반응 말아야”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고구려 장군총. 사진제공 위키피디아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있는 고구려 장군총. 사진제공 위키피디아

중국 지린성의 황창(黃璋) 당서기가 최근 근현대사 전시회 준비 현장을 시찰하면서 역사적 메시지를 내놓자, 한국 사회에서는 동북공정과 유사한 역사 왜곡이 재점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린성이 고구려와 발해의 주요 유적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중국 당국이 자국 중심의 역사관을 다시 부각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선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 교수는 SCMP(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지린성 지도자가 중화사상을 강조하며 역사 문제에 개입할 경우, 이는 단순한 지역 전시회 차원을 넘어 역사 인식의 정치화를 촉발할 수 있다”며 “최근 출범한 한국 새 정부와의 관계 정상화 흐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강 교수는 특히 동북공정이 과거 한중 갈등의 주요 뇌관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역사 문제는 양국 간 민감한 외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반면 중국 측 학자는 이를 과도한 해석이라고 반박했다. 랴오닝대학교의 뤼차오 교수는 “중국이 현재 고대사 논쟁을 다시 시작하려는 것은 아니다”라며 “전시회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역사 교육 목적에 가깝고, 동북공정 당시와는 정치적 맥락이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 내 반중 정서가 격화되는 상황에서, 과도한 경계는 오히려 긴장만 부추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미국 퓨 리서치 센터가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에 대해 우호적이라고 답한 한국인의 비율은 2015년 61%에서 2024년 19%로 급감했다. 

다만 올해 7월 조사에서는 25%로 소폭 반등하며 회복 조짐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민감한 시기에 역사·문화 이슈를 정쟁이나 외교 분쟁의 수단으로 삼기보다는, 양국이 신중하고 성숙한 접근을 통해 오해를 줄이고 긴장을 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류 재근 기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