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정치
경제

29세 직장인 “매달 100만원 모으는데…왜 돈이 안 불어나죠?”

산타뉴스 전미수 기자
입력
  [퍼블릭 도메인]
빠르게 1억원 만들기’를 목표로 매달 100만원 이상을 저축하고 있지만, 통장 잔고는 기대만큼 불어나지 않아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퍼블릭 도메인]

[재테크 Q&A] 생활비 관리·투자 포트폴리오 전략 필요

 

5년 차 직장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20대 후반 A씨. 

사회 초년생 시절부터 ‘빠르게 1억원 만들기’를 목표로 매달 100만원 이상을 저축하고 있지만, 통장 잔고는 기대만큼 불어나지 않아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A씨의 월 소득은 세후 약 280만원. 여기에 분기마다 성과금 형태로 연 800만원가량의 비정기 소득도 있다. 

하지만 생활비와 고정비를 지출하고 나면 남는 돈이 적지 않아, 저축이 더뎌 보이는 상황이다. 

실제로 한 달 지출은 평균 243만8000원에 달한다. 

휴대폰 요금, 보험료, 모임 회비 등 고정비만 40만원에 가까우며, 점심값과 교통비 등 변동 생활비가 100만원을 넘는다. 여기에 파악되지 않은 소소한 지출도 매달 30만원 안팎 발생한다.

 

현재 A씨가 보유한 자산은 총 3600만원 규모다. 청약통장과 청년도약계좌, 정기예금, 적금, 그리고 파킹통장에 흩어져 있다. 

단순 저축만으로는 1억원 목표 달성까지 최소 6~7년이 걸릴 수 있어 전략 재점검이 필요하다.

 

지출 구조부터 손보기

 

전문가들은 “소득 대비 지출 구조를 정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조언한다. 특히 변동비가 과도한 만큼 생활비를 70만원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면 매달 저축액을 170만원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매년 2100만원 이상을 모을 수 있어, 3년 안에 1억원 달성이 가능하다.

 

비정기 수입 활용 전략

 

분기별 성과금 등 일시적 소득은 단순 소비 대신 단기 목적의 저축 상품에 넣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자유적금에 입금해 ‘비상금’으로 확보해 두면 불필요한 카드 사용을 줄이고 지출 관리도 쉬워진다.

 

중장기 포트폴리오 구성

 

장기적으로는 단순 적금에서 벗어나 세제 혜택 계좌와 투자 상품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청년도약계좌의 납입액을 늘리거나,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통해 적립식 펀드에 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단순히 저축액을 늘리는 것보다 ‘언제·무엇을 위해’ 돈을 쓰고 모을지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한다”며 “3년 뒤 목돈 마련, 10년 뒤 주택 구입, 노후 자산 형성과 같이 단계별 목표를 설정하면 훨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고 조언한다.
 

무료 상담 창구도 활용을

 

재테크 전략을 세우기 어렵다면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무료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활용할 수도 있다. 금융소비자포털 ‘파인’이나 금감원 콜센터(1332 ▶7번 금융자문서비스)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저축·투자 방안을 점검해 볼 수 있다.
 

핵심은 생활비 절감 + 비정기 수입 활용 + 장기 포트폴리오 설계다. 

 

단순 저축에서 벗어나 지출 구조를 효율화하고, 세제 혜택 상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3년 1억원’ 목표 달성의 지름길이라는 분석이다.

 

 

전미수 기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