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노벨문학상, 헝가리 작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Crásznahorkai László) 수상 결정
스웨덴 한림원은 202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헝가리 소설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71세)를 선정했다고 10월 9일 발표했다.
그는 종말론적 공포 속에서도 예술의 힘을 재확인하는 강렬하고 선구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영예를 안았다.

1. 수상 배경 및 선정 이유
한림원은 수상 동기로 다음과 같이 밝혔다.
“compelling and visionary œuvre that, in the midst of apocalyptic terror, reaffirms the power of art.”
크러스너호르커이의 문학 세계는 종말적 불안, 실존적 위기, 문학적 혼돈 속에서 예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역동성을 지니며, 현대 문학이 갖는 긴장과 의미의 경계를 확장한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
한림원은 또한 중부 유럽 전통 속에서 “카프카 → 베른하르트 계열”의 문학적 계보를 잇는 작가로 평가하며, 그의 작품이 “부조리와 기괴의 과잉”을 특징으로 삼는다고 설명했다.

2. 작가 약력 및 문학 세계
생애 및 경력
• 출생: 1954년 1월 5일, 헝가리 남부의 도시 유라(Gyula)
• 언어: 헝가리어를 기본 언어로 함
• 문단 활동: 1980년대 이후 실험적이고 철학적인 소설을 발표해 왔으며, 특히 긴 문장 구조와 호흡 있는 서사를 특징으로 한다
• 수상 경력: 맨부커 국제상(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수상 등 국제적 문학상 경험이 있음
주요 작품 및 특징
• 대표작으로 《Satantango》 (1985)와 《The Melancholy of Resistance》 등이 꼽힌다. 이들 작품은 헝가리 농촌 공동체의 몰락과 인간의 내면을 음울하고 긴밀한 서사로 그려 냈다.
• 일부 작품은 헝가리 출신 영화감독 벨라 타르(Béla Tarr)에 의해 영화로 각색되기도 했다.
문체적으로는 아주 긴 문장, 흐름 있는 리듬, 이미지의 밀도, 내면과 외면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전략 등이 두드러진다.
그의 작품은 읽는 이에게 지적인 긴장감과 반복적인 사유의 기회를 제공한다.
• 주제 면에서는 존재의 불안, 붕괴하는 사회 구조, 혼란 속의 의미 탐색, 인간과 세계와 예술의 관계 등이 중심이다.
3. 의미와 반향
• 헝가리 출신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이전에는 임레 케르트ész(Imre Kertész)가 2002년에 영예를 안은 바 있다.
•수상 발표 직후 국내외 언론과 문학계는 이번 선정이 “동유럽 문학 전통의 재평가”, “극한 서사의 미학적 승리” 등으로 해석되며 깊은 관심을 받았다.
• 특히 한국에서는 지난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던 한강 작가의 뒤를 이은 수상자로 주목받으며, 세계 문학 흐름 속에서 한국 문학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계기로 여겨지고 있다.
• 수상자에게는 상패, 메달, 수료증 등이 12월 스톡홀름에서 수여된다.
4. 향후 기대
이번 수상은 크러스너호르커이의 작품 국내 역역 확대와 번역 출판 증가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의 작품 세계가 오늘날의 불확실하고 위태로운 시대 사회에 던지는 질문들이 독자와 학계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문학 비평과 비교 문학 분야에서도 그의 영향력, 계보적 위치, 스타일적 실험성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어질 전망이다.
마무리
2025년 노벨문학상은 헝가리의 소설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에게 돌아갔다.
그가 구축해 온 종말론적 상상력과 문학적 긴장감, 중부 유럽적 전통과 철학적 사유의 결합이 이번 수상을 이끌었다.
그의 문학 세계는 문학적 아름다움과 존재의 불안을 동시에 포착하며, 오늘날 세계 속 작가와 독자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